17 |
김수람(2020). 분노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 인지적 재평가 전략의 중재효과
|
관리자 |
2021-04-07 |
2924 |
|
16 |
김소연(2020). 먹방 시청과 불안 정서유발이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관리자 |
2021-04-07 |
2884 |
|
15 |
[출판] 신수연(2020). 데이트폭력 피해자가 겪는 대인관계 문제 :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
관리자 |
2021-04-07 |
2898 |
|
14 |
박혜진(2020). 사회불안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범진단적 개입으로서 단일화된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관리자 |
2021-04-07 |
2909 |
|
13 |
[출판] 김선우(2017), 성매매 중 겪은 학대 경험이 정서조절 곤란에 미치는 영향 : 탈성매매 여성을 대상으로
|
관리자 |
2020-01-02 |
2845 |
|
12 |
김소리(2017), 스트레스와 자기조절이 야식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관리자 |
2020-01-02 |
2798 |
|
11 |
박세연(2017), 직장 내 배척 경험이 관계적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 통제감의 조절효과
|
관리자 |
2020-01-02 |
2816 |
|
10 |
[출판] 이윤선(2017), 인지적 정서조절 방략과 촉발사건이 전위된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
관리자 |
2020-01-02 |
2828 |
|
9 |
최정원(2017), 섭식절제와 충동성이 외부 단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
관리자 |
2020-01-02 |
2796 |
|
8 |
[출판] 김정아(2019), 중등도 우울 대학생을 위한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관리자 |
2020-01-02 |
283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