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
정유라(2023). 대학생의 관계상실과 복합애도, 우울의 관계: 자기복잡성의 조절효과
|
관리자 |
2023-09-07 |
2792 |
|
36 |
[출판] 김호경(2023). 행동억제 성향과 행동활성화 성향이 사회불안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배척 경험의 조절효과
|
관리자 |
2023-09-07 |
2778 |
|
35 |
구슬(2023). 미혼여성의 신체존중감과 심리적 웰빙 관계 : 자기연민의 매개효과
|
관리자 |
2023-09-07 |
2739 |
|
34 |
[출판] 죠이치 카이세(2023). 자연친화적 캠퍼스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 캠퍼스 워킹 앤 토킹 프로그램 적용
|
관리자 |
2023-09-07 |
2807 |
|
33 |
[출판] 안현정(2023). 대학생의 아동기 대인외상 경험과 관계기반 SNS 과의존의 관계: 자기자비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관리자 |
2023-09-07 |
2792 |
|
32 |
손준호(2023). 초기 성인기의 불안정 애착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
관리자 |
2023-09-07 |
2811 |
|
31 |
김수현(2023). 월경주기에 따른 부정정서와 음식갈망의 변화 : 월경전증상솨 월경통을 중심으로
|
관리자 |
2023-03-29 |
2838 |
|
30 |
[출판] 전소현(2023). 범불안 증상 완화를 위한 응용이완치료프로그램의 효과
|
관리자 |
2023-03-29 |
2894 |
|
29 |
[출판] 황화정(2023). 긍정적 재평가, 객관화 재평가가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의 반응적 공격성과 긍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
|
관리자 |
2023-03-29 |
2830 |
|
28 |
조성용(2023). 진로스트레스를 겪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행동활성화 기반 진로상담프로그램의 효과
|
관리자 |
2023-03-29 |
279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