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 |
여아영 (2025).은둔형 외톨이 고위험군 청년의 사회불안과 우울 완화를 위한 행동활성화 개인 치료프로그램의 효과
|
학과 관리자 |
2025-09-08 |
54 |
|
56 |
임규란 (2025). 부정정서와 폭식행동의 관계 : 섭식기대로 조절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학과 관리자 |
2025-09-08 |
33 |
|
55 |
정세원 (2025). 폭식행동을 보이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강동민 |
2025-03-26 |
116 |
|
54 |
윤수빈 (2025). 대인 외상에 대한 개입으로써 구조화된 글쓰기의 효과 : 표현적 글쓰기와의 비교
|
강동민 |
2025-03-26 |
121 |
|
53 |
정태현 (2025).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인터넷 게임중독경향성의 관계 : 부정정서 조급성과 긍정정서 조급성의 매개효과
|
강동민 |
2025-03-26 |
108 |
|
52 |
정은진 (2025). 수사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수면 및 우울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강동민 |
2025-03-26 |
114 |
|
51 |
이호준 (2025). 병리적 걱정과 불안 증상을 겪는 대학생을 위한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강동민 |
2025-03-26 |
117 |
|
50 |
홍혜선 (2025). 발표불안을 겪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발표불안 및 발표 관련 부정적 사고를 중심으로
|
강동민 |
2025-03-26 |
117 |
|
49 |
김소연 (2024). 글쓰기를 통한 객관화/ 긍정적 재평가가 병리적 걱정을 보이는 대학생의 인지적 회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긍·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
|
강동민 |
2024-09-02 |
365 |
|
48 |
김연경 (2024). 여대생의 외로움과 폭식행동의 관계: 정서인식명확성과 마음챙김의 순차적 매개효과
|
강동민 |
2024-09-02 |
36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