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박진홍 (2024). 직장인의 자기은폐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관계 : 고통감내력으로 조절된 심리적 불편감의 매개효과

등록일 2024-09-27 작성자 강동민 조회수 253

직장인의 자기은폐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관계 :

고통감내력으로 조절된 심리적 불편감의 매개효과

 

심 리 학 과  박 진 홍

지 도 교 수  김 은 석

 

본 연구는 직장인의 자기은폐가 심리적 불편감을 통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고통감내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400명을 대상으로 자기은폐,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심리적 불편감, 고통감내력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문항을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6.0을 사용하여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Hayes Process Macro v4.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매개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은폐는 직접적으로 심리적 불편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불편감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은폐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각 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여성 직장인의 자기은폐가 심리적 불편감을 통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성 직장인의 자기은폐가 심리적 불편감을 통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고통감내력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은폐 모형과 달리 경험적 연구에서 심리적 불편감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비일관적으로 나타났던 이유가 고통감내력 수준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일 수 있음을 밝혔다는데 학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서비스 갭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를 이해함으로써 기업 상담 현장에서 상담 서비스 대상군을 선별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주요어: 자기은폐,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심리적 불편감, 고통감내력

 

RISS-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