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정종욱 (2024).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고통 과잉 감내와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

등록일 2024-09-26 작성자 강동민 조회수 237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고통 과잉 감내와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

 

심 리 학 과  정 종 욱

지 도 교 수  김 은 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고통 과잉 감내와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에서 만 25세 사이의 한국 국적 대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 고통 과잉 감내, 정서조절 곤란, 문제음주 문제를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6.0을 사용하여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Mplus 7.0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곤란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고통 과잉 감내와 정서조절 곤란이 순차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봄으로써, 문제음주로 인해 고통을 호소하는 내담자에게 어떻게 개입할 것인지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요어: 사회부과 완벽주의, 고통 과잉 감내, 정서조절 곤란, 문제음주

 

RISS -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