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박정은(2022). "정서적 학대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 내면화된 수치심과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순차적 매개효과."

등록일 2023-02-24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788

정서적 학대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 내면화된 수치심과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순차적 매개효과

Emotional Abuse Influ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 of Emerg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Fear of Intimacy.

 

 

심리학과 박정은

 

지도교수 김은석

 

국문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소재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 이상의 한국 국적의 대학생 250을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 내면화된 수치심,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대인관계 문제를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7.0를 사용하여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경쟁모형과 연구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여 최종모형을 선택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 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정서적 학대와 대인관계 문제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학대와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학생 시기의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정서적 학대; 내면화된 수치심;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대인관계 문제

 

RISS 검색 - 학위논문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