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미현(2021).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적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Depression of University Stydents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Distress Tolerance
심리학과 강미현
지도교수 김은석
국문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적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에 소재한 4년제 사립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통제,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적 고통감내력, 우울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에는 SAS 9.4와 Mplus 7.0을 사용하였다.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적 고통감내력의 수준이 감소하였고 우울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인식명확성이 낮을수록 정서적 고통감내력의 수준은 감소하였고 우울 수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고통감내력이 낮을수록 우울 수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래핑으로 매개 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 간의 관계를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적 고통감내력이 각각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 간의 관계를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적 고통감내력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상담장면에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로 인한 우울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서적 고통감내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함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부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적 고통감내력; 우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