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단비 (2025). 타인중심성 도식과 우울의 관계: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순응형 대인관계문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타인중심성 도식과 우울의 관계: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순응형 대인관계문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Directedness Schema and Depression: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tress and Compliant Interpersonal Problems
심 리 학 과 정 단 비
지 도 교 수 김 은 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인중심성 도식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순응형 대인관계문제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에서 만 25세 사이의 남녀 대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타인중심성 도식, 대인관계 스트레스, 순응형 대인관계문제, 우울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인중심성 도식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타인중심성 도식과 우울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단순매개효과와 순응형 대인관계문제의 단순매개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타인중심성 도식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순응형 대인관계문제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계 문제로 인해 우울을 호소하는 내담자를 상담하는 과정에서 정서도식의 영향력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으며 과거 경험에 의해 형성된 정서도식이 현재 관계 장면에서 활성화되는 과정에 개입함으로써 이로 인한 정서적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음을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주제어: 타인중심성 도식 ; 대인관계 스트레스 ; 순응형 대인관계문제 ; 우울 ; 대학생 ; Other-Directedness Schema ; Interpersonal Stress ; Compliant interpersonal problems ; Depression ; university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