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민성 (2025). 한국판 공부중독 척도(K-BStAS)와 스터디홀리즘 척도(K-SI-10)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을 대상으로

등록일 2025-03-28 작성자 강동민 조회수 34

한국판 공부중독 척도(K-BStAS)와 스터디홀리즘 척도(K-SI-10)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을 대상으로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Bergen Study Addiction Scale (K-BStAS) and Studyholism Inventory (K-SI-10)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심 리 학 과  전 민 성

 

지 도 교 수  김 은 석

 

본 연구에서는 병리적으로 학업에 몰두하는 현상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이론적 관점에서 개발된 공부중독 척도(Bergen Study Addiction Scale: BStAS; Atroszko et al., 2015)와 스터디홀리즘 척도(Studyholism Inventory: SI-10; Loscalzo & Giannini, 2020)를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하였다. 이를 통해 치료 현장에서 공부중독 실태를 평가하고 위기도가 높은 이들에게 적절하게 개입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관련 연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학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만 18-24세 대학생이었으며, 학업에 대한 환경적 요구의 영향력을 통제하기 위해 의과대학생과 간호대학생은 설문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전문 설문 업체를 통해 200명의 예비조사 자료와 300명의 본조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예비연구의 경우 의과대학생의 자료로 보이는 1부를 제외한 199명의 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판 공부중독 척도는 원척도와 동일하게 7문항 단일 요인 구조로 확인되었으며, 한국판 스터디홀리즘 척도는 원척도와 동일하게 공부강박과 공부열의의 8문항 2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각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두 척도의 내적합치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열의와 학업관련 변인(학업성적, 학업시간)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수렴 타당도 및 변별 타당도 증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부중독과 불안 간 상관관계, 공부강박과 걱정 간 상관관계,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 학업소진, 전반적인 삶의 질, 일반적 건강, 수면의 질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준거관련 타당도 증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요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제어: 공부중독 ;  스터디홀리즘 ;  한국판 공부중독 척도(K-BStAS) ;  한국판 스터디홀리즘 척도(K-SI-10) ;  대학생 ;  Study addiction ;  Studyholsim ;  Korean Bergen Study addiction Scale ;  Korean Studyholism Inventory ;  University Students

 

RISS-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