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김연경 (2024). 여대생의 외로움과 폭식행동의 관계: 정서인식명확성과 마음챙김의 순차적 매개효과

등록일 2024-09-02 작성자 강동민 조회수 310

​여대생의 외로움과 폭식행동의 관계: 정서인식명확성과 마음챙김의 순차적 매개효과

 

 

 

심 리 학 과  김 연 경

 

지 도 교 수  김 근 향

 

 

 

본 연구의 목적은 폭식행동을 설명하는 부정정서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여대생의 외로움이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마음챙김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28세 여대생 236명을 대상으로, 외로움, 정서인식명확성, 마음챙김, 폭식행동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9.4판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M-plus 7판을 사용하여 경로분석과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외로움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여대생의 외로움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단순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마음챙김의 단순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여대생의 외로움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마음챙김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로움을 많이 경험할수록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 마음챙김 수준이 낮아지게 되며, 자신의 부정정서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폭식행동을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여대생의 외로움이 폭식행동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봄으로써 임상 장면이나 상담에서 폭식행동으로 인한 어려움에 대해 개입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요어:  외로움 ;  정서인식명확성 ;  마음챙김 ;  폭식행동 ;  여대생 ;  Loneliness ;  Emotional Clarity ;  Mindfulness ;  Binge Eating Behavior ;  Women College Students

 

RISS 검색 - 학위논문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