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권예진 (2024). 대인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조절효과

등록일 2024-09-02 작성자 강동민 조회수 285

대인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조절효과

 

 

심 리 학 과  권 예 진

 

지 도 교 수  김 근 향

 

 

 

본 연구는 대인외상 경험한 대학생 중 의도적 반추를 보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대학교에 있는 재학생들 중 초기성인기로 판단된 학생들(18-29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196명(남:22.4%, 여:77.6%)이 조사에 참여하였고, 분석은 SPSS 2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의도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과 하위변인인 자기지각의 변화, 대인관계 깊이증가, 새로운 가능성 발견, 영적 종교적 신념 증가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두 번째,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외상 후 성장, 하위변인 중 영적, 종교적 관심증가를 제외한 변인들과도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도적 반추와 새로운 가능성 발견관계에서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정서적 지지가 낮은 것에 비해 새로운 가능성 발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도적 반추와 새로운 가능성 발견관계에서 평가적 지지가 높을수록 평가적 지지가 낮은 것에 비해 새로운 가능성 발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주요어: 대인외상 ;  의도적 반추 ;  외상 후 성장 ;  정서적 지지 ;  평가적 지지 ;  초기 성인기 ;  Interpersonal trauma ;  deliberate rumination ;  post-traumatic growth ;  emotional support ;  uative support ;  early adulthood

 

RISS 검색 - 학위논문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