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김난영 (2024). 여성의 이미지 기반 SNS에서의 상향비교와 폭식행동의 관계: 상대적 박탈감과 부정정서 조급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등록일 2024-09-02 작성자 강동민 조회수 290

여성의 이미지 기반 SNS에서의 상향비교와 폭식행동의 관계:

상대적 박탈감과 부정정서 조급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심 리 학 과  김 난 영

 

지 도 교 수  김 근 향

 

 

 

본 연구는 이미지 기반 SNS에서의 상향비교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상대적 박탈감과 부정정서 조급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미지 기반 SNS를 사용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29세 이하 여성 220명을 대상으로 이미지 기반 SNS 상향비교, 폭식행동, 상대적 박탈감, 부정정서 조급성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문항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AS 9.4와 Mplus 7.0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지 기반 SNS에서의 상향비교에서 폭식행동의 직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이미지 기반 SNS에서의 상향비교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상대적 박탈감과 부정정서 조급성 각각의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상대적 박탈감 및 부정정서 조급성의 단순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이미지 기반 SNS에서의 상향비교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상대적 박탈감과 부정정서 조급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성의 이미지 기반 SNS에서의 상향비교로 인해 상대적 박탈감을 경험하고, 이러한 부정정서를 경험하는 상태에서 성급하게 행동하려는 성향이 강할수록 폭식행동이 유발될 위험성이 있다는 하나의 과정을 설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주요어: 이미지 기반 SNS ;  상향비교 ;  상대적 박탈감 ;  부정정서 조급성 ;  폭식행동 ;  Image-Based SNS ;  Upward Social Comparison ;  Binge Eating Behavior ;  Relative Deprivation ;  Negative Urgency

 

RISS 검색 - 학위논문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