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철 (2024). 행동활성화 치료프로그램이 성인ADHD 성향을 보이는 대학생의 실행기능과 정서인식명확성에 미치는 효과
심 리 학 과 이 현 철
지 도 교 수 김 근 향
본 연구는 성인ADHD 성향을 보이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행동활성화(Behavioral Activation, BA)치료프로그램이 실행기능과 정서인식명확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44명에게 선별검사 코너스 성인ADHD 평정 척도(CAARS-K)를 실시하였고 cut-off 80점에 해당하며,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25명을 대상을 각 집단에 12명씩 무선할당 하였다. 치료집단에서는 프로그램 4회 이상 결석하거나 본인 스스로 프로그램 참여 중지 의사를 밝힌 연구 대상자 1명을 제외하여 총 2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모든 프로그램은 대면으로 진행하였으며, 총 8회기(주 1회, 50분, 개별)로 구성하였다. GES(목표실행), GSS(목표설정), K-BDEFS(바클리 실행기능 결핍 척도 단축형), TMMS(특질 상위 기분척도)척도들을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후, 프로그램이 종료된 2주 뒤 시점에 측정하였다. 대응표본 t검증, 공변량분석(ANCOVA) 결과, 치료집단은 대기통제집단 보다 목표실행, 목표설정, 실행기능, 정서인식명확성에 대한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2주 뒤 시점에서 치료집단은 대기통제집단 보다 목표실행, 목표설정, 실행기능, 정서인식명확성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행동활성화 치료가 성인ADHD 성향을 보이는 대학생의 목표실행, 목표설정, 실행기능, 정서인식명확성을 증가시켰음을 시사한다.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에서 다루었다.
주요어: 성인ADHD ; 행동활성화 ; 실행기능 ; 정서인식명확성 ; Adult ADHD ; Behavioral Activation Therapy ; Executive function ; Emotional Cognition Cl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