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라(2023). 대학생의 관계상실과 복합애도, 우울의 관계: 자기복잡성의 조절효과
등록일 2023-09-07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742
대학생의 관계상실과 복합애도, 우울의 관계:
자기복잡성의 조절효과
심 리 학 과 정 유 라
지 도 교 수 김 근 향
본 연구는 관계상실과 복합애도 및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복잡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구대학교 대학생 200명을 연구대상으로 관계상실경험, 자기복잡성, 복합애도, 우울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상실은 복합애도, 우울의 관계에서 정적상관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복잡성과 우울간의 관계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관계상실과 복합애도의 관계에서 관계상실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복합애도에 대한 관계상실과 자기복잡성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관계상실과 우울의 관계에서 관계상실의 주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자기복잡성의 주효과가 부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우울에 대한 관계상실과 자기복잡성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복잡성이 관계상실로 인한 복합애도 및 우울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 및 제언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주요어: 관계상실, 자기복잡성, 복합애도, 우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