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현(2023). 월경주기에 따른 부정정서와 음식갈망의 변화 : 월경전증상솨 월경통을 중심으로
심 리 학 과 김 수 현
지 도 교 수 김 근 향
본 연구는 월경전증상과 월경통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고, 집단간에 황체기, 월경기, 여포기의 부정정서와 음식갈망의 수준이 변화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평가하기 위해 가임기 미혼 여성 152명을 대상으로 월경전증상, 월경통을 평가하고 부정정서와 음식갈망은 황체기, 월경기, 여포기로 구분하여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MS 및 non-PMS 집단, PD 및 non-PD 집단, non-PD&PMS 및 non-PMS&PD, PMS&PD 집단으로 분류하여 분류하였고, PMS 및 non-PMS 집단의 음식갈망과 부정정서, PD 및 non-PD 집단의 음식갈망과 부정정서, non-PD&PMS 및 non-PMS&PD, PMS&PD 집단의 음식갈망과 부정정서를 일원 변량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포기를 제외한 황체기, 월경기 음식갈망과 모든 주기의 부정정서에서 non-PMS 집단보다 PMS 집단의 수준이 높았다. 또한, PD 집단은 non-PD 집단보다 황체기 음식갈망과 황체기 부정정서, 월경기 부정정서의 수준이 높았다. non-PD&PMS 및 non-PMS&PD, PMS&PD 집단의 음식갈망과 부정정서의 수준을 비교하였다. 황체기 음식갈망과 월경기 부정정서에서 non-PMS&PD 집단보다 PMS&PD 집단이 높았고, 황체기 부정정서의 경우 non-PMS&PD 집단보다 non-PD&PMS 집단과 PMS&PD 집단의 수준이 높았다. 월경주기와 PMS 및 non-PMS 집단에 따른 음식갈망과 부정정서, 월경주기와 PD 및 non-PD 집단에 따른 음식갈망과 부정정서, non-PD&PMS 및 non-PMS&PD, PMS&PD 집단에 따른 음식갈망과 부정정서의 상호작용 효과를 보기 위해 이원 변량분석을 진행하였고,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한 경우 단순 주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월경주기와 PMS 및 non-PMS 집단의 부정정서를 제외한 모든 분석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월경주기와 PMS 및 non-PMS 집단의 부정정서의 경우 모든 주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은 논의에 서술하였다.
주요어: 월경전증후군, 월경통, 부정정서, 음식갈망, 월경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