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 전소현(2023). 범불안 증상 완화를 위한 응용이완치료프로그램의 효과
심 리 학 과 전 소 현
지 도 교 수 김 근 향
본 연구는 근거기반치료로서 효과성이 입증된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Applied Relaxation, AR)을 범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범불안 수준이 높은 성인 40명을 선별하여 치료집단과 대기 통제집단에 20명씩 무선할당하였다.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치료프로그램은 대면과 온라인 화상회의(ZOOM)를 통해 비대면으로 병행실시하였으며, 총 9회기(주 2회, 약 50분) 동안 진행되었다. 범불안 척도, 펜실베니아 걱정 질문지, 상태불안 척도, 걱정 불안 척도, 우울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를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직후, 프로그램 종결 10일 뒤 시점에 측정하였다. 대응표본 t 검증과 공변량분석(ANCOVA) 결과, 종결 시점에서 치료집단은 대기 통제집단 보다 범불안, 걱정, 상태불안, 걱정 불안, 우울 그리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종결 10일 뒤 시점에서 치료집단은 대기 통제집단 보다 걱정, 상태불안, 걱정 불안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범불안, 우울 수준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AR이 범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걱정과 불안을 비롯한 범불안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주요어 :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 범불안, 걱정, 상태불안
출판논문 상세보기불안 증상 완화를 위한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의 효과
심 리 학 과 전 소 현
지 도 교 수 김 근 향
본 연구는 근거기반치료로서 효과성이 입증된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Applied Relaxation, AR)을 범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범불안 수준이 높은 성인 40명을 선별하여 치료집단과 대기 통제집단에 20명씩 무선할당하였다.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치료프로그램은 대면과 온라인 화상회의(ZOOM)를 통해 비대면으로 병행실시하였으며, 총 9회기(주 2회, 약 50분) 동안 진행되었다. 범불안 척도, 펜실베니아 걱정 질문지, 상태불안 척도, 걱정 불안 척도, 우울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를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직후, 프로그램 종결 10일 뒤 시점에 측정하였다. 대응표본 t 검증과 공변량분석(ANCOVA) 결과, 종결 시점에서 치료집단은 대기 통제집단 보다 범불안, 걱정, 상태불안, 걱정 불안, 우울 그리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종결 10일 뒤 시점에서 치료집단은 대기 통제집단 보다 걱정, 상태불안, 걱정 불안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범불안, 우울 수준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AR이 범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걱정과 불안을 비롯한 범불안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주요어 :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 범불안, 걱정, 상태불안
RISS 검색 - 학위논문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