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 임지윤(2022). 먹방 시청과 충동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생태순간평가의 활용
심 리 학 과 임 지 윤
지 도 교 수 김 근 향
본 연구에서 먹방 시청과 충동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생태순간평가 기법을 활용 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30대를 대상으로 총 257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먹 방 시청을 하는 집단과 하지 않는 집단에서 충동성 점수의 상, 하위 50%에 해당하는 참가 자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82명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먹방 시청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충동성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먹방 시청과 충동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충동성 저 집단에서는 먹방 유 집 단과 먹방 무 집단 간의 폭식행동의 차이가 없었으나, 충동성 고 집단에서는 먹방 무 집단 보다는 먹방 유 집단에서 폭식행동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충동성이 높을수록 음 식단서인 ‘먹방’에 노출되면 과식을 할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이는 결국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 먹방, 충동성, 폭식행동
출판논문 상세보기방 시청과 충동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생태순간평가의 활용 -
심 리 학 과 임 지 윤
지 도 교 수 김 근 향
본 연구에서 먹방 시청과 충동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생태순간평가 기법을 활용 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30대를 대상으로 총 257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먹 방 시청을 하는 집단과 하지 않는 집단에서 충동성 점수의 상, 하위 50%에 해당하는 참가 자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82명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먹방 시청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충동성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먹방 시청과 충동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충동성 저 집단에서는 먹방 유 집 단과 먹방 무 집단 간의 폭식행동의 차이가 없었으나, 충동성 고 집단에서는 먹방 무 집단 보다는 먹방 유 집단에서 폭식행동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충동성이 높을수록 음 식단서인 ‘먹방’에 노출되면 과식을 할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이는 결국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 먹방, 충동성, 폭식행동
RISS 검색 - 학위논문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