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 이유진(2022).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심 리 학 과 이 유 진
지 도 교 수 김 근 향
본 연구는 우울을 호소하는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능동적, 지지추구적, 회피분산적 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전체 26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그 중 우울증 선별도구(PHQ)의 절단점(5점)에 따라 선별 한 우울을 호소하는 사람은 130명이었다. 전국 5개 대학의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전체 대학생 참여자들의 연령은 평균 21.20세이었다. 우울 호소 여부에 따른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차이 검증을 위한 t검증 결과 우울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정서인식명확성의 점수가 유의 미하게 낮고, 비자살적 자해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살작적 자해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우울 호소 대학생의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은 정서인식명확성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비자살적 자 해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은 정서인식명확성과 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비자살적 자해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 관계에서 능동 적 정서조절양식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각각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다. 따라서 능동적, 회피분산적 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우 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 식의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대학생 중 우울을 호소하는 자해 취약집단의 정서인식명확성이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회피분산적 정 서조절양식 각각을 통해 비자살적 자해의 심각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과정을 설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주요어: 비자살적 자해, 우울,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조절양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