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진(2022). 유산 당시의 심리적 고통과 유산 후 우울 및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의 관계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조절효과
유산 당시의 심리적 고통과 유산 후 우울 및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의 관계
: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Relation to at that Time of Miscarriage, Post-Miscarriage Depression and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s
심리학과 이 수 진
지도교수 김 근 향
본 연구는 유산 경험 당시의 심리적 고통이 유산 후 우울과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이 이를 완화시켜 주는지 조절효과를 검 증하였다. 유산을 경험한지 10년 이내의 여성 12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참여자들의 연령은 평균 34.25세, 유산 경과 기간은 평균 19.37개월이었다. 출산 및 육아와 관련된 인터넷 카페에서 온라인 설문 실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유산 당 심리적 고통과 유산 후 우울 및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 다.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은 유산 후 우울 증상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나 외상 후스트레스 증상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회귀 분석 결과, 유산 당시의 심리적 고통이 유산 후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하위유형 중 접근적, 지지추구적 정서조절방략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유산 당시의 심리적 고통이 유산 후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서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하위유형 모두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산 당시의 심리적 고통과 유산 후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방 략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유산 당시의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는 여성에게 심리적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접근적 정서조절방략과 지지추구적 정서조절방략이 유산 후 우울 증상의 완화에 도움이 됨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유산, 심리적 고통, 우울, 외상후스트레스, 정서조절방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