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 최민영(2021). 자연 경험과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회복환경지각의 매개효과
자연 경험과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회복환경지각의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Experienc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심 리 학 과 최 민 영
지 도 교 수 김 근 향
본 연구는 자연을 경험하는 것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확인하고 그 관계에서 회복환경지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비교적 연구가 부족했던 자연 경험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에서 회복환경지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자연 경험 설문지, 회복환경지각 척도, 주관적 스트레스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 척도를 실시하였고, 24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자연 경험과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연 경험과 회복환경지각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회복환경지각과 스트레스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회복환경지각과 주관적 안녕감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회복환경지각은 자연경험과 스트레스의 관계 및 자연경험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모두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경험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주관적 안녕감을 증가시키는 데 회복환경지각의 매개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자연경험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향후 자연을 활용한 치료 프로그램 및 자연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에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자연, 회복환경지각, 지각된 스트레스, 주관적 안녕감
출처: 2021년 8월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임상심리학 문학석사 학위논문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0a638062a4c2a643ffe0bdc3ef48d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