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영(2021).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심 리 학 과 김 선 영
지 도 교 수 김 근 향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불안에 대한 자기제시모델에 따라서,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참가자에게 본 실험은 ‘사회적 상황이 발표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라고 설명한 후 비대면 상황으로 인해 온라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일반 대학생 및 대학원생 중 80명이 참가하였으며 그 중 7명을 제외한 73명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성향적 자기제시동기에 따라 자기제시 동기가 높은 집단(상위 25%) 과 낮은 집단(하위 25%)으로 분류되었고, 두 집단을 각각 자기제시 기대를 높이는 집단과 낮추는 집단으로 무선할당 하였다. 참가자들은 첫 번째 발표를 한 후 발표수행에 대한 평가를 받음으로써 처지집단에 따라 자기제시기대가 조작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태불안에 대한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의 주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사회불안에 대한 자기제시동기의 주효과는 나타났으나, 자기제시기대의 주효과와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에 따른 행동 수행불안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자기제시모델을 통한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안과 기존에 개인이 가지는 사회불안에 대한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주요어: 자기제시모델,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사회불안
출처: 2021년 2월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임상심리학 문학석사 학위논문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c9ae14559a76df39ffe0bdc3ef48d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