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출판] 이진희(2019), 월경증후군을 겪는 여성들의 삶의 질 및 일상생활기능 : 전향적 평가를 중심으로

등록일 2020-01-02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879
월경전증후군을 겪는 여성들의 삶의 질 및 일상생활기능
- 전향적 평가를 중심으로 - 
 
이 논문을 문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심 리 학 과 이 진 희
지 도 교 수 김 근 향
 
(초 록)본 연구는 월경전증후군의 과잉진단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월경주기 1주기 동안의 전향적 평가를 통하여 월경전증후군을 진단하고 월경전증후군을 겪는 여성들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기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평가하기 위해 가임기 여성 264명을 대상으로 월경주기 1주기 동안 매일 저녁 월경전 기분 증상에 대한 심각도 일일 평가 서를 작성하게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는 여성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기능을 평가하고 월경전 증상의 하위증상이 삶의 질과 일상생활기 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집한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향적 평가방법을 통해 월경전증후군으로 진단된 여성들 중 약 46%만이 전 향적평가를 통해 월경전증후군으로 진단되었다. 둘째,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는 여성 들이 난포기에 비해 황체기에 일상생활기능과 삶의 질이 유의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t = -8.97, ***P<.001; t = -8.15; ***P<.001). 셋째, 월경 불편감 질문지의 47 개 문항을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총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들 요 인은 의욕저하, 부정적 정서, 인지기능저하 및 관련신체반응, 통증 관련 신체반응, 자 율신경반응이다. 월경전 하위증상이 황체기 삶의 질과 일상생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결과, 인지기능저하 및 관련신체반응만이 황체기 일상생 활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주요어 : 월경전증후군, 월경전불쾌감장애, 삶의 질, 일상생활기능

 
출처 : 2019년 2월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임상심리학 문학석사 학위논문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f2b8558dc7beefdbffe0bdc3ef48d419


 
출판논문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