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호준 (2025). 병리적 걱정과 불안 증상을 겪는 대학생을 위한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등록일 2025-03-26 작성자 강동민 조회수 71

병리적 걱정과 불안 증상을 겪는 대학생을 위한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Behavioral Activation Therap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Pathological Worry and Anxiety Symptoms

 

 

심 리 학 과  이 호 준

 

지 도 교 수  김 근 향

 

 

본 연구는 병리적 걱정과 불안 증상을 겪는 대학생을 위한 행동활성화치료(Behavioral Activation Therapy; BAT)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병리적 걱정과 불안 수준이 높은 대학생 24명을 선별하여 BAT 집단 12명, 대기 통제집단 12명으로 무선할당 하였다. 모든 프로그램은 대면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8회기(주1~2회, 약 60분)로 구성하였다. GAD-7, 펜실베니아 걱정 질문지, 상태불안 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우울척도, 수용-행동 질문지, 인지적 회피 질문지, 행동활성화 척도들을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후, 프로그램 종료 2주 뒤 시점에 측정하였다. 대응표본 t 검증과 공변량분석(ANCOVA) 결과, BAT 집단은 범불안, 걱정, 상태불안,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우울, 경험회피, 인지적 회피 수준이 대기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BAT 집단은 행동활성화 수준이 대기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BAT가 병리적 걱정과 불안 증상을 겪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걱정과 불안 및 이에 동반되는 범불안 증상 및 우울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 ;  범불안 ;  병리적 걱정 ;  경험회피 ;  인지적 회피 ;  Behavioral Activation Therapy Program ;  Generalized Anxiety ;  Pathological Worry ;  Experiential Avoidance ;  Cognitive Avoidance

 

RISS 검색 - 학위논문 상세보기